청주 한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 한씨는 마한 9대 원왕의 후손이라고 전해지며, 고려 개국공신 한란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기자를 후손으로 자처하며, 조선 시대에 많은 왕비를 배출하여 삼한갑족으로 불렸다. 주요 인물로는 한란, 한상경, 한확, 한명회 등이 있으며, 1985년 59만 명, 2015년 75만 명으로 인구가 증가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청주 한씨 | |
---|---|
기본 정보 | |
이름 | 청주 한씨 |
한자 표기 | 淸州 韓氏 |
로마자 표기 | Cheongju Han clan |
유형 | 귀족 가문 |
기원 | 청주 |
창시자 | 한란 |
모토 | 충성, 효도, 덕, 예절, 근면, 겸손, 공손, 검소 충효덕례 근금공검 |
웹사이트 | 청주 한씨 중앙종친회 |
관련 인물 | |
역사 및 가계 | |
시조 | 한란 |
조선 왕실과의 관계 | |
왕비 배출 | 소혜왕후 장순왕후 안순왕후 공혜왕후 인렬왕후 |
주요 인물 | |
인구 정보 | |
2015년 인구 | 752,689명 |
2. 기원
《청주한씨세보》에 따르면 마한 9대 원왕(元王)의 세 아들 우평(友平), 우량(友諒), 우성(友誠)이 각각 태원 선우씨(太原 鮮于氏), 청주 한씨(淸州 韓氏), 행주 기씨(幸州 奇氏)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선계를 고증할 수 없어 고려 개국공신 '''한란'''(韓蘭)을 시조로 삼는다.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난곡리에서 한지원(韓智原)의 셋째 아들로 태어난 '''한란'''(韓蘭)은 40세 무렵에 현재의 청주시 상당구 방서동(方西洞)으로 이주하여 마을 언덕에 무농정(務農亭)을 짓고 방정리(方井里) 무농평(務農坪)의 농토를 개척한 호족이었다. 928년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하여 청주를 지날 때 당시 가뭄으로 왕건의 군사와 군마 등이 모두 지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란은 왕건을 군례(軍禮)로 맞이하고 자신의 군사와 군마 그리고 10만 대군이 먹을 수 있는 군량미를 제공했으며, 왕건과 함께 종군(從軍)하여 큰 전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한란은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이 되었으며, 벼슬은 삼중대광 태위(三重大匡 太尉)에 올랐다고 한다.[8]
백제의 공신인 한세기(韓世奇)를 시작으로 고려 시대에 삼한벽상공신 한란, 신의왕후, 한상경, 한충 등의 인물들을 배출하며 고대에도 명문가였다.
《선조실록》에는 윤근수(尹根壽) 등이 "세상에서 전하기로는 청주 한씨(淸州韓氏)가 기자의 후손이라 합니다. 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이 삼한(三韓)이 국호이었으므로, 한을 가리켜 기자의 후손이라 합니다."라고 답한 내용이 있다.[21]
청주 한씨는 중국 상나라의 귀족이었던 기자(箕子)가 흰말을 타고 "극동"에 나라를 세웠다는 전설을 근거로 그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고대 고조선의 마지막 군주인 준왕의 아들 우량(友諒)의 후손이다.[8]
청주 한씨의 시조는 우랑의 32대손인 한란(韓蘭, 853~916)이다.[9][10]
3. 시조
청주 한씨는 기자(箕子)가 고조선을 건국했다는 전설을 근거로 그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준왕의 아들 우랑(友諒)의 후손이다.[8] 청주 한씨의 시조는 우랑의 32대손인 한란(韓蘭; 853~916)이다.[9][10]
4. 역사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315명, 상신(相臣) 12명, 공신(功臣) 24명, 대제학 1명, 왕비 6명을 배출하였고, 한확과 한명회가 세조의 묘정에 배향되어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 일컬어진다. 조선 시대에 가장 많은 장군을 배출한 종족으로, 여섯 명의 왕비를 포함한 많은 왕비와 후궁을 배출한 것으로 유명하다. 조선 시대에 여섯 명의 왕비, 다섯 명의 공주, 세 명의 후궁, 315명의 학자, 12명의 상신, 14명의 공신, 그리고 1명의 대제학을 배출했다.
의경세자의 부인이자 한국 최초의 여성 작가인 인수대비는 여성을 위한 유교 윤리서인 《내훈》을 저술했다.[11][12]
1617년 조선 시대 한효정, 한혁 등이 저술한 청주 한씨 족보는 서지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다른 족보와는 달리 전체적인 체계와 기록 방식이 다르며, 왕실 기록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3]
5. 분파
6. 조선 왕실과의 관계
청주 한씨는 조선 왕실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태조의 정비 신의왕후를 비롯하여 소혜왕후(인수대비), 장순왕후, 안순왕후, 공혜왕후, 인열왕후 등 여섯 명의 왕비를 배출하였다. 중종의 후궁 귀인 한씨, 명종의 후궁 숙의 한씨, 선조의 후궁 온빈 한씨 등도 청주 한씨였다.
양녕대군의 사위 한치형, 계양군의 처 정선군부인 한씨, 창원군의 세 번째 부인 군부인 한씨, 구성군의 처 천안군부인 한씨, 흥안군의 전처 청주군부인 한씨 등도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의혜공주의 남편 청원위 한경록, 정혜옹주의 남편 청평위 한기, 공신옹주의 남편 청녕위 한경침, 정신옹주의 남편 청천위 한경우 등 여러 왕실 부마도 배출하였다.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 강혜장숙려비와 그의 여동생이자 선덕제의 후궁인 공신부인도 청주 한씨 출신이다. 이처럼 청주 한씨는 조선 시대에 왕비, 공주, 후궁, 부마 등을 배출하며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6. 1. 왕비
- 태조의 정비 신의왕후
- 덕종비 소혜왕후(인수대비)
- 예종 정비 장순왕후
- 예종 계비 안순왕후
- 성종 정비 공혜왕후
- 중종 후궁 귀인 한씨[14]
- 명종 후궁 숙의 한씨[15]
- 선조 후궁 온빈 한씨[16]
- 인조 정비 인열왕후

6. 2. 후궁
- 태조의 정비 신의왕후
- 덕종비 소혜왕후(인수대비)
- 예종 정비 장순왕후
- 예종 계비 안순왕후
- 성종 정비 공혜왕후
- 중종 후궁 귀인 한씨[14]
- 명종 후궁 숙의 한씨[15]
- 선조 후궁 온빈 한씨[16]
- 인조 정비 인열왕후
- 강혜장숙려비 (14세기 후반 ~ 1424); 영락제의 후궁.
- 공신부인 (1410 ~ 1483); 강혜장숙려비의 여동생; 선덕제의 후궁.
6. 3. 기타
- 태조의 정비 신의왕후
- 덕종 비 소혜왕후 (인수대비)
- 예종 정비 장순왕후
- 예종 계비 안순왕후
- 성종 정비 공혜왕후
- 중종 후궁 귀인 한씨
- 명종 후궁 숙의 한씨
- 선조 후궁 온빈 한씨
- 인조 정비 인열왕후
- 태종의 장남 양녕대군의 사위 한치형
- 세종의 8남 계양군의 처 정선군부인 한씨
- 세조의 4남 창원군의 세 번째 부인 군부인 한씨
- 임영대군의 차남 구성군의 처 천안군부인 한씨
- 선조의 10남 흥안군의 전처 청주군부인 한씨
- 중종의 6녀 의혜공주의 남편 청원위 한경록
- 성종의 11녀 정혜옹주의 남편 청평위 한기
- 성종의 4녀 공신옹주의 남편 청녕위 한경침
- 중종의 9녀 정신옹주의 남편 청천위 한경우
7. 주요 인물
청주 한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주요 인물을 배출했다. 고려 시대 주요 인물로는 한강, 한사기, 한수, 한방신, 한상경 등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한확, 한명회, 한계희, 한백륜, 한치형, 한치례, 한효원, 한백겸, 한준겸, 한흥일, 한원진, 한익모, 한치윤, 한규설 등이 있다. 근현대에는 한규설, 한용운, 한기악, 한승수, 한화갑, 한광옥, 한명숙, 한덕수, 한민구, 한동훈 등이 주요 인물로 기록되어 있다.
7. 1. 고려
- 한강(韓康, 1228년 ~ 1303년): 고려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하고, 충렬왕 때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으로 물러났다.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 한사기(韓謝奇): 한강의 아들. 과거에 급제하여 간의대부(諫議大夫),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에 이르렀다.[1]
- 한수(韓脩, 1333년 ~ 1384년): 1347년(충목왕 3) 과거에 합격하였다. 청성군(淸城君)에 봉해지고 1383년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2]
- 한방신(韓方信, ~ 1376년): 홍건적의 난에 동북면도병마사로서 경성을 수복하였고, 서원군(西原君)에 봉군되었으며,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렀다. 아들 한안(韓安)이 공민왕을 시해하여 우왕 때 처형됐다.[3]
- 한상경(韓尙敬, 1360년 ~ 1423년): 한수의 아들. 1382년(고려 우왕 8)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공신 3등에 추록되었으며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으로 영의정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4]
7. 2. 조선
조선 건국 이후 청주 한씨는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한상경(1360년 ~ 1423년): 한수의 아들. 1382년(고려 우왕 8)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공신 3등에 추록되었으며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으로 영의정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11]
- 한확(1400년 ~ 1456년): 누이 공신부인이 명 선덕제의 여비로 책봉되었다. 수양대군을 도와 정난공신 1등에 책록되고, 좌의정에 올랐으며, 서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세조묘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양절(襄節)이다. 딸은 성종의 어머니인 소혜왕후이다.[11]
- 한명회(1415년 ~ 1487년): 예종비 장순왕후와 성종비 공혜왕후의 아버지이다. 수양대군을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에 책록되고,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에 진봉되었으며, 1466년 영의정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성(忠成). 세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11]
- 한계희(1423년 ~ 1482년): 한상경의 손자. 1447년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471년(성종 2)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1478년 좌찬성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11]
- 한백륜(1427년 ~ 1474년): 1468년(예종 즉위년) 장녀가 안순왕후로 책봉되었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우의정에 올라서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에 봉군되었다. 시호는 양혜(襄惠)이다.[11]
- 한치형(1434년 ~ 1502년): 1451년(문종 1) 군직에 음보된 뒤 경기도관찰사, 한성부판윤, 호조판서, 병조판서, 좌찬성, 대사헌 등을 거쳐 우의정을 역임한 뒤 1500년 영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질경(質景)이다.[11]
- 한치례(1441년 ~ 1499년): 한확의 3자로 성종의 외숙부이다. 무과 급제하여 이조,호조,병조,공조의 판서를 역임하였으며, 좌참찬, 영돈녕부사로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에 진봉되었다.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이다. 시호는 장간(莊簡)이다.[11]
- 한효원(1468년 ~ 1534년):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1531년 우의정, 1532년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시호는 장성(章成)이다.[11]
- 한백겸(1552년 ~ 1615년): 1579년(선조 12) 생원시에 합격하여 호조좌랑, 형조좌랑, 청주목사, 판결사, 호조참의, 강원도안무사 등을 역임하였다. 『동국지리지』 등을 저술하였다.[11]
- 한준겸(1557년 ~ 1627년): 1586년(선조 1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고, 1623년 인조반정으로 딸이 인렬왕후로 책봉되자 영돈녕부사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11]
- 한흥일(1587년 ~ 1651년): 한백겸의 아들. 1624년(인조 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651년 우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정온(靖溫)이다.[11]
- 한원진(1682년 ~ 1751년): 한상경의 후손.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 중 한 사람으로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인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했다.[11]
- 한익모(1703년 ~ 1781년): 1733년(영조 9)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1772년 영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11]
- 한치윤(1765년 ~ 1814년):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조카 한진서와 함께 해동역사를 저술하였다.[11]
- 한규설(1848년 ~ 1930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1896년 법부대신 겸 고등재판소 재판장에 임명되었고, 1905년 의정부참정대신이 되어 을사조약 체결을 반대하였다.[11]
조선 시대에 청주 한씨는 여섯 명의 왕비, 다섯 명의 공주, 세 명의 후궁, 315명의 학자, 12명의 상신, 14명의 공신, 그리고 1명의 대제학을 배출했다.[11]
이 종족의 구성원 중에는 의경세자의 부인이자 한국 최초의 여성 작가인 인수대비가 있으며, 그녀는 여성을 위한 유교 윤리서인 『내훈』을 저술했다.[11][12]
7. 3. 근현대
- 한규설(韓圭卨, 1848년 ~ 1930년):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1896년 법부대신 겸 고등재판소 재판장에 임명되었고, 1905년 의정부참정대신이 되어 을사조약 체결을 반대하였다.
- 한용운(韓龍雲, 1879년 ~ 1944년):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
- 한기악(韓基岳, 1898년 ~ 1941년): 언론인, 독립운동가.
- 한승수(韓昇洙, 1936년 ~ ): 제39대 국무총리
- 한화갑(韓和甲, 1939년 ~ ): 제14·15·16·17대 국회의원
- 한광옥(韓光玉, 1942년 ~ ): 제11·13·14·15대 국회의원, 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 대통령비서실장
- 한명숙(韓明淑, 1944년 ~ ): 제37대 국무총리
- 한덕수(韓悳洙, 1949년 ~ ): 제38대 국무총리
- 한민구(韓民求, 1951년 ~ ): 제44대 국방부 장관
- 한동훈(韓東勳, 1973년 ~ ): 제69대 법무부 장관
8. 인구
연도 | 가구 수 | 인구 (명) |
---|---|---|
1985년 | 142,894 | 597,600 |
2000년 | 199,642 | 642,992 |
2015년 | 752,689 |
[22]
2015년 통계에 따르면, 많은 지방 자치 단체의 총인구 대비 비율이 1~2%이며, 전라북도 군 지역, 충청남도 서부, 제주특별자치도 등 2%를 넘는 지역도 있다.[20] 전국에서 총인구 대비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2,738명, 총인구의 4.73%)이다.[20]
9. 이성 동본
참조
[1]
웹사이트
Royal Consort, Cheongju Han - 왕비록, 청주한씨세보
http://www.cheongjuh[...]
2020-04-15
[2]
논문
Secretary-General Appoints Han Seung-Soo of Republic of Korea Special Envoy on Disaster Risk Reduction and Water
https://www.un.org/N[...]
2013-12-19
[3]
뉴스
한승수 前부총리 英서 KBE 작위
http://news.naver.co[...]
2019-08-20
[4]
웹사이트
Former Chairmen of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http://kita.org/abou[...]
[5]
뉴스
Han Kang's Novel Is a Politically Tinged Eulogy for a Dead Sister
https://www.nytimes.[...]
2019-08-20
[6]
웹사이트
Terra Han, Korean musical genius Carnegie Hall recital -MusicalAmerica
https://www.musicala[...]
2019-08-20
[7]
뉴스
Political noble family-Cheongju Han clan most queens and prime minister 정치명가-국무총리·왕비 최다배출한 청주 한씨
https://news.joins.c[...]
2019-07-16
[8]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청주한씨 淸州韓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9]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10]
논문
韓国人の起源に関する中高生の意識と『国史』教科書との関係
http://www2.lib.yama[...]
2012
[11]
웹사이트
MusicalAmerica - Terra Han introduces East Asian Royal women's identity through her own family traditions of Han clan of Cheongju
https://www.musicala[...]
2020-05-12
[12]
웹사이트
Queen Sohye's Instruction for Women - Queen Sohye (Queen mother Insu, Seongjong's mother)
https://artsandcultu[...]
2019-09-06
[13]
웹사이트
FamilySearch Catalog: 청주한씨족보 淸州韓氏族譜, 5권, 930-1955 — FamilySearch.org
https://www.familyse[...]
2020-04-15
[14]
기타
Concubine of King Jungjong and niece of Queen Ansun
[15]
기타
Concubine of King Myeongjong
[16]
기타
Concubine of King Seonjo
[17]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7
[18]
논문
韓国人の起源に関する中高生の意識と『国史』教科書との関係
https://yamagata.rep[...]
山形大学歴史・地理・人類学研究会
[19]
웹사이트
유래
http://www.hjkee.com[...]
2022-09-05
[20]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21]
실록
선조실록 165권, 선조 36년 8월 13일 병신 1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22]
실록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청주목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